HTTP13 [HTTP] 인터넷과 네트워크 기본 개념(IP, TCP/UDP, PORT, DNS)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숫자 IP는 인터넷 프로토콜 역할을 수행한다. 프토로콜이란 컴퓨터 내부에서,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입니다. 기기 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의 형식에 대해 상호 합의를 요구합니다. 이런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 전달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IP 프로토콜의 한계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패킷을 보내는 상대방이 패킷을 받을 수 없는 상태지만 패킷을 전송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패킷의 순서를 보장하기 힘듬 패킷 순서를 보장할 .. 2024. 3. 12. HTTP 기본 개념- Stateful, Stateless, 비 연결성, 지속 연결 HTTP 통신에서 서버, 클라이언트간 연결은 Stateful, Stateless방식을 사용한다. 서버, 클라이언트간에 연결을 유지하는것,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지에 따른 차이점이 있다 Stateful(상태유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 즉 상태 유지 Stateless(무상태): "클라이언트"가 애초에 접속할 때 "서버"에게 필요한 상태를 제공하는 것 Stateful, Stateless의 특징 Stateful에서 서버가 변경 된다면 원하는 데이터가 없어지므로 오류가 발생한다. 중간에 서버가 변경된다면 변경된 서버에 미리 데이터를 전송해야 된다. 반대로 Stateless(무상태)에서는 서버가 변경되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에서는 응.. 2024. 3. 12. HTTP 메서드의 속성 HTTP메소드 주요 메소드 GET: 리소스 조회 POST: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등록에 사용 PUT: 리소스를 대체,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PATCH: 리소스 부분 변경 DELETE: 리소스 삭제 GET 리소스 조회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query(쿼리 파라미터, 쿼리 스트링)를 통해서 전달 메시지 바디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지만, 지원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권장하지 않음 POST 요청 데이터 처리 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 전달 서버는 요청 데이터를 처리 주로 전달된 데이터로 신규 리소스 등록,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 리소스 URI에 POST 요청이 오면 요청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 리소스마다 따로 정해야한다. 정해진 방법은 없음 POST정리 새 리소스 생성 서.. 2024. 3. 12. 이전 1 2 다음